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사회 구성원 대부분이 달라진 일상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소년원 아이들의 생활도 크게 달라졌다.
가장 먼저 코로나19 대응 수준이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소년원 아이들은 감염 방지를 위해 외부인과의 접촉이 전면 차단됐다. 가족 면회는 물론 자원봉사자들의 멘토링 방문도 모두 금지됐다. 소년원 아이들이 그나마 바깥 나들이를 할 수 있는 외부 체험 학습도 줄줄이 취소됐다. 법무부는 아이들의 격리 스트레스가 상당할 것으로 보고 화상 면회와 전화 통화 횟수를 늘리는 등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아이들이 느끼는 답답함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다.
김지수 법무부 소년보호과 사무관은 "소년원 수업은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7교시 수업 내내 아이들이 마스크를 쓰고 있어야 하고, 식사를 할 때도 친구들과 떨어져야 한다"며 "가족들도 만날 수 없어 더욱 답답함을 호소한다"고 상황을 전했다.
그래도 아이들이 버틸 수 있는 건 아이들을 잊지 않고 따뜻한 손길을 내밀어주는 이들이 있어서다. 대학입시 전문 학원 이강에류의 양재연(39) 대표는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이후 지난달부터 서울소년원(고봉중·고등학교), 안양소년원(정심여자정보산업학교)에 18회, 총 2140인분의 햄버거 세트를 지원해주고 있다. 17일 양 대표에게 소년원 아이들에게 관심을 갖게 된 이유를 물었다.
Q. 소년원과 어떻게 인연을 맺게 됐나
A, 지인들이 진행했던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사회봉사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그곳에서 한 지인이 어릴 적 실수로 교도소를 다녀온 경험을 털어놨다. 그 분은 지금 성공해서 잘 살고 있다. 소년원 아이들이 생각났다. 한 번 실수한 아이들을 사회가 외면하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때부터 소년원에 지원하자고 마음을 먹었다. 2018년부터 소년원 아이들이 검정고시에 합격할 수 있도록 주 2회 교육기부를 진행하고 있다.
Q. 햄버거 지원은 왜
A. 올해 검정고시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코로나19로 소년원 아이들과 외부인의 접촉이 전면 금지되면서 수업을 못 하게 됐다. 원래 아이들 공부시키려고 간식으로 햄버거나 치킨 등을 지원했는데, 수업을 못 해주니 간식을 더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지난 2년 동안 여러 가지 간식을 제공해봤는데 아이들이 햄버거를 가장 좋아했다. 답답한 생활이 이어지고 있지만 그나마 맛있는 음식으로 힘을 냈으면 한다. 가능하다면 학생들이 좋아할 수 있는 것을 더 많이 지원하고 싶다
Q.앞으로 계획은
A. 지금까지 했던 지원은 계속할 것이다. 지인들과 봉사 재단도 설립해 더 적극적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해볼 생각이다. 또 소년원 아이들이 사회에 나와서도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취업 관련 프로그램을 만들 생각이다. 퇴원 후 학원에 찾아오면 교육 지원은 물론, 학원 콜센터 등 취업 자리도 마련해줄 수 있다. 뜻을 함께하는 지인 중에는 다양한 직업을 가진 분들이 많아 원하는 분야의 지원도 해줄 생각이다.
Q. 더 하고 싶은 말은
A. 2년 동안 소년원을 지원하면서 알게된 점은 아이들이 퇴원 후 가야 할 방향을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런 아이들을 사회가 부정적인 눈으로만 바라보게 되면, 아이들은 또다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 아이들이 본인의 직업을 가지고 정정당당하게 살 수 있도록 사회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아이들도 현재 면회가 제한돼 있어 매우 힘들 텐데 개인 관리를 철저하게 해 전부 건강하게 지냈으면 한다. [출처:중앙일보]
전국 소년원에 8000만원 상당 지원 이어져
소년원 아이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곳은 더 있다. 제주시 자원봉사자센터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직접 마스크 500개를 만들어 제주소년원(한길정보통신학교)에 지원했다. 소년원 자원봉사단도 전국 소년원에 마스크 6000여매와 간식 등을 지원했다. 코로나19 이후 전국 소년원에 총 104회, 약 8000만원 상당의 지원이 이뤄졌다.
서울소년원의 한 학생은 법무부를 통해 “가족들을 직접 만나지 못해 아쉽지만 많은 분이 맛있는 간식과 위생용품을 지원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버티고 있다”며 “저도 다음에 꼭 남을 돕는 사람이 되겠다”고 전해왔다.
강광우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57187